Gonjiduk Gazebo
홍예교(虹霓橋) 또는 홍교(虹橋) 본문
홍(虹)과 예(霓)는 무지개라는 뜻으로 돌을 쌓아 무지개 모양으로 둥글게 쌓아 올린 다리를 홍예교라 또는 홍교라 한다.
요즘 세대에게 아치(arch)라는 외래어로 익숙한 홍예에는 완벽에 가까운 견고함과 빼어난 아름다움이 있다.
좌우에서 쐐기 형태로 다듬은 돌을 서로 면이 맞물리게 안으로 오므려 돌을 쌓아 올라가다가 맨 위 가운데에 마지막 돌, 즉 이맛돌(key stone)을 끼워 넣으면 스스로 의지하여 버티는 강한 구조물이 되는 것이다. 이마 부분의 받침돌들이 하부의 돌을 눌러 압축력을 강화하여 홍예교가 무너지는 것을 막아 내는 것이다. 그래서 건물이나 성벽이 무너져도 홍예는 건재한 모습을 종종 발견할 수 있다. 더 놀라운 것은 우리의 전통적인 홍예에서는 돌과 돌 사이에 모르타르(mortar)같은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았다는 점, 엄밀히 말하면 돌이 허공에 떠있는 셈이다.
홍예교는 그 자체에 머무지 않고 주변 풍경과 한데 어울려 하나의 그림을 만들어낸다. 오래 된 홍예교에는 사람이 만들었음에도 사람의 흔적보다는 자연스러움이 가득하다. 그래서 배경과 잘 조화를 이루는지도 모른다.
인간의 작품이되 인간의 흔적을 걸러내고 자연에 가까웠던 우리네 홍예.
하나 하나 정교하게 돌을 쌓아올리는 수고를 겪은 뒤에야 비로소 완성되는 옛날 홍예와, 수고를 들이지 않은 채 그저 둥근 모양만을 취하고 돌조각만 갖다 붙인 지금의 홍예를 비교해보라.
빼어난 아름다움, 자연과의 합일, 이런 측면에서 본다면 오늘날 쉽게 만들어진 홍예는 우리 옛 홍예를 따라가기는 어려울 듯 싶다.
그렇다면, 전통사찰의 다리 가운데 가장 깊고도 오묘한 뜻을 내포하고 있는 다리 이름은 무엇일까! 세 개의 별, 그리고 반달이라는 뜻을 간직한 통도사 ‘삼성반월교(三聖半月橋)’가 단연 압권이다. 다리에 새겨진 ‘삼성반월교(三星下半月橋)’ 한문 표지석은 경봉 스님 글씨다.
삼성반월교는 홍예교(虹霓橋) 형식이다. 홍예교란 돌을 양쪽 끝에서부터 놓아 ‘무지개’처럼 이어 만들어 가는 다리를 말한다. 반원을 그리며 축조해 가다 마지막 한 가운 돌이 끼여지면 완공이다. 삼성반월교는 세 개의 홍예로 이뤄져 있는 게 특징이다. 한 개의 홍예는 ‘반달’과 흡사하니 세 개의 반달이 떠 있는 셈이다. 이 세 개의 ‘반월’을 ‘별’로 상징해 ‘삼성반월교’라 이름 했을 수 있겠다. 하지만 숨은 뜻이 또 있다.
조선 건국 직후 유생들은 국사로 모실 선지식을 찾았다. 그들이 던진 물음은 하나. ‘최초의 부처는 누구입니까?’ 나옹 스님이 일렀다. ‘삼성하반월(三星下半月)’이라!’ ‘세 개의 별 아래 반달’은 무엇을 뜻함일까? 마음 ‘심(心)’자를 파자해 보면 ‘별 세 개 아래의 반월’을 어렵지 않게 떠올릴 수 있다. 통도사 삼성반월교는 바로 ‘마음’, 부처의 마음을 상징하고 있는 것이다.
[인용출처] 법보신문 2013.02.13.채한기 상임 논설위원(penshoot@beopbo.com), http://goo.gl/5En5v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