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Art/Painting (6)
Gonjiduk Gazebo
친분 두터운 화가의 가을 묻은 꽃신 작품. '김영란법'이 민초들에게 무슨 소용인가 가벼운 부담감으로 넌즈시 건네받았다. 가을 햇살처럼 가벼워질 발걸음을 어찌할꼬?
옛날 중국 사람이 조선 사람을 보면 ‘저들은 일생의 반을 호랑이에게 물려가지 않으려고 애쓰는데 소비하고 나머지 반은 호환을 당한 사람 집에 조문을 가는 데 쓴다’라고 우스갯 소리를 할 만큼 우리나라 산에는 호랑이가 많았다. 육당 최남선(1890-1957)같은 학자는 아래의 글에서와 같이 호랑이를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동물로 꼽았다. ‘호랑이는 조선 최대의 동물이며 조선인의 생활에 끼친 영향이 크니 그 중 신화, 전설, 동화를 통하여 나타난 호랑이 이야기들은 설화 세계에서 최고이다. 그래서 조선을 호담국(虎談國)이라 할 만큼 범 이야기의 특수한 인연을 가진 곳이 되었다’ 유독 우리가 호랑이 그림을 좋아하고 민화의 대표격으로 삼는 것은 산이 많은 우리만의 독특한 자연에서 비롯된 것이다.미국의 저명한 미술사학자..
대구 근교(칠곡)에서 작업하시는 작가 김희열의 '도자회화' 작품 한 점이 몇 년 전에 인연이 닿아 우리집으로 시집을 왔다. 작가 김희열은 도자기에 한국화 기법을 접목시켜 한국적 정서를 담은 '도자회화' 작품을 만들고 있는 분으로 유명하다. 작가는 투박하면서도 매끄러운 질감이 고스란히 느껴지는 초벌 도판 위에 물감 대신 산화물 안료들을 사용해 화조도(花鳥圖)를 그렸다. 홍매(紅梅)의 꽃잎 색깔이 붉다 못해 검붉어서 흑매(黑梅)와 같다. 그리고 오랜 수령을 짐작케 하는 늘어진 가지에서 꽃을 피우는 매화를 보면, 조선의 선비들이 이야기하는 “매일생한불매향(梅一生寒不賣香)”라는 구절이 떠오른다.매화 가지 위에 다정하게 앉아 있는 새 한 쌍은 둥근 머리모양에 귀깃이 없는 것으로 보아 부엉이가 아니고 올빼미인 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