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곤지둑 (276)
Gonjiduk Gazebo
미술사학자 고(故) 최순우 선생님이 극찬한 분청사기를 전주국립박물관에서 만났다.분청사기물고기무늬항아리(粉靑沙器彫花漁文壺)분청사기물고기무늬사발(粉靑沙器彫花漁文大鉢) 전라북도 고창 용산리 출토, 조선 15세기. '분청사기粉靑沙器’의 뿌리는 고려 말에 제작된 질 낮은 상감청자에 있다. 그러나 조선 전기에 들어와 독특한 미감을 가진 새로운 도자기로 발전하였다. 분청사기는 그릇 표면에 흰색 화장토를 입히고 어떤 방법으로 무늬를 나타냈는가에 따라 상감象嵌 · 인화印花 · 조화彫花 · 박지剝地 · 철화鐵畵 · 귀얄 ·분장粉粧(덤벙)의 7가지 종류로 나누어진다.조화기법은 분장 후 조각칼을 이용해 선으로 무늬를 새기는 기법이다. 조화(彫花)라는 명칭이 사용된 것은 주로 모란이나 당초문 등과 같은 초화문을 새겨 넣었기 때..
전주국립박물관에 전시된 고려청자.고려의 멸망과 함께 개국한 조선의 사상적 이념은 성리학으로 청렴결백이 주요 덕목의 하나였다. 성리학의 덕목인 청렴과 순백함을 반영하여 조선의 의생활에서도 흰옷을 입는 풍습이 유행하였으며, 16세기 후반에는 흰색 자기, 백자가 전국적으로 제작되어 사대부는 물론 서민들의 삶에 가깝게 다가왔다. 따라서 고려의 상징이었던 비취색 청자는 사대부는 물론 일반 서민들의 삶 속에서도 사라지게 되었다. 하지만 고려청자의 세련된 곡선이 가지는 조형미와 화려한 문양, 독특한 장식 등은 오늘날 현대 디자인의 관점에서 바라보아도 감탄사가 절로 나올 만큼 아름답다. “도자기는 정치를 반영합니다. 한국 도자기는 고려청자나 조선백자처럼 시대구분이 분명합니다. 과거를 강하게 부정함으로써 새로운 것을 창..
고려 시대하면 흔히 청자만 제작된 것으로 알고 있지만 사실은 좀 다르다. 고려시대에도 전시기에 걸쳐 백자가 제작, 생산됐다. 고려 백자는 청자의 발전과 맥을 같이해 기형, 문양, 제작 기법면에서 청자와 비슷한 점이 많다. 그렇지만 도자기를 빗는 흙, 즉 철분이 덜 들어 있는 백토를 사용한 것이 결정적으로 다르다. 철분이 많이 든 태토로 빗은 도자기가 청자이며 철분이 덜 섞인 백토를 찾아 거기서 다시 철분을 제거한 뒤에 그 흙을 태토로 사용해 만든 도자기가 백자이다. 따라서 제작 기법상의 분류로 치자면, ‘시대’를 가리키는 접두어를 붙이지 않고 그냥 청자, 백자라고 불러야 한다. 하지만 오랫동안 고려를 대표하는 도자기로 청자가 거론되고 또 고려청자라는 말이 일반화되어 왔기 때문에 백자 중 고려 시대에 만들..
아흔다섯 번째 삼일절 아침, 동네를 걷다가 '○○공작소'라는 가게 앞에서 그만 걸음을 멈췄다. 간판에 쓰인 이런 말들 때문에…. '샷시, 조립식 판넬, 샷터 제작, 고시, 방충망, 쟈바라.' 이 간판, 가만 보면 우리말보다 일본말이 더 많은 셈이다. 우선 '쟈바라(じゃばら·蛇腹)'. 이 말은 아주 그냥 일본말이다. 아코디언을 연주할 때, 한손으로 건반을 누르고 다른 손으로는 주름상자를 밀거나 당기는데, 이때 밀고 당기는 주름상자가 바로 일본말로 쟈바라다. 옛날식 사진기에도 비슷한 게 붙어 있는데, 한자 표기로 알 수 있듯이, 뱀의 배에 있는 주름처럼 생겼다 해서 붙은 이름이다. 이 '쟈바라'가 우리나라에 와서는 한쪽으로 밀면 접히는 방범 창살을 가리키는 말로 쓰이는 것. 셔터 대신 설치하는 이 창살은 출..
전 서계에 약 525~600여종의 제비꽃이 서식하고 있다. 이 많은 종을 일반인이 식별하고 동정한다는 것은 그만큼 어려운 일이다. 게다가 제비꽃은 자연상태에서 교잡종이 쉽게 만들어진다하니 더더욱 어려운 일일 수 밖에 없다. 2013.04.27. 청도 덕사 2016.04.09. 합천군 가야면 구원리. 고깔제비꽃 Viola rossii Hemsl.제비꽃목 제비꽃과영명 : Ross Violet. 일명 : アケボノスミレ하트 모양의 잎이 처음에 나올 때 잎의 가장자리가 고깔 모양으로 말려 있어 "고깔제비꽃"이라고 이름 지어졌다. 잎은 꽃이 질 때쯤 완전히 펴진다.2016.04.10. 합천군 가야면 홍류동계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