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곤지둑 (276)
Gonjiduk Gazebo
김천 수도산 자연휴양림에서 가족(서울에서 오신 이모님 포함)하여 가족이 하루 밤을 보내고 집으로 돌아 오는 길에 방문한 성주 한개마을. ‘한개’라는 이름은 달리 말해 ‘큰 나루’가 된다. 크다는 뜻의 ‘한’과, 나루라는 의미의 ‘개’가 합쳐진 말이기 때문이다. 예전 마을 앞에 있던 나루이름이 바로 한개였고, 마을이름은 여기서 유래한다.2007년 12월 31일 중요민속자료 제255호로 지정. 조선시대에 지어진 100여 채의 전통 고가가 옛 모습 그대로 보존되어 있으며 풍수지리설로 보아 영남 최고 길지로 꼽힌다. "이 마을은 경주의 양동 민속마을이나 안동의 하회마을처럼 ‘이거다’하고 내세울 만한 무게 있는 건물을 지닌 것도, 순천의 낙안읍성이나 아산의 외암리 민속마을처럼 남다른 특색을 갖춘 것도 아니다. 그..
사찰 불전의 계단 좌우나 고택 마당에서는 이국적인 모양을 가진 파초(芭蕉)를 볼 수 있다. 경북 성주군 월항면 한개마을(중요민속문화재 제 255호)에서 인상적인 파초를 만났다. 하회댁 앞마당에 식재되어 있는 파초와 고택의 정경은 한폭의 그림을 떠 올리게 한다. 바로 겸재 정선(鄭敾,1676~1759)이 그린 이다. 녹음 가득한 마당에서 생선(웅어)꾸러미를 선물로 받고 시로써 감사의 답을 하는 선비의 모습을 그린 그림이 ‘척재제시’(惕齋題詩·척재가 시를 짓다)이며, 그림 속 주인공은 노론의 영수였던 척재 김보택(金普澤,1672~1717)이다. 척재의 집을 떠올려 그린 겸재의 이 그림은 한 그루의 파초가 압권이다. 파초의 선명한 색깔과 넓은 잎을 다른 나무에 비해 부각되게 그린 이 그림을 통해 파초가 사대부..
오상고절(傲霜孤節)된서리에도 굴하지 않고 외로이 지키는 절개. ‘국화(菊花)’를 비유하는 말임. "국화야, 너난 어이 삼월춘풍(三月東風) 다 지내고, 낙목한천(落木寒天)에 네 홀로 피었나니. 아마도 오상고절(傲霜孤節)은 너뿐인가 하노라" - 이정보 시조 국화는 절개(節槪)와 은일(隱逸)의 상징이다 그래서 군자로 예찬되었고,문학을 비롯한 예술의 소재로 많은 사랑을 받았다. 二런데 옛사람들이 국화를 이처럼 아끼고 사랑한 것은 군자의 상징이기 때문만이 아니다 그보다 훨씬 현실적이고 본능에 호소하는 장점이 장수(長壽)이다."중국의 남양 역현에는 단맛이 나는 계곡물이 있다. 물에서 단맛이 나는 까닭은 계곡의 상류에 감국(甘菊)이 자라고 있기 때문이다. 국화 꽃잎이 계곡물로 떨어지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물맛이 변한..
면벽참선(面壁參禪)벽을 향(向)하고 앉아 마음을 가다듬어 참선(參禪) 수행(修行)하는 것을 의미한다.좁은 우리집 거실 벽 모퉁이에는 면벽참선하고 계시는 수행자(修行者)가 계신다.면벽수행자는 관솔로 만든 목공예품이라 가까이 가면 솔향이 은은하게 풍긴다.
가을 비가 그쳤다. 가을 가뭄 때문에 속타는 사람들의 심정을 생각하면 일찍 그친 비가 안타깝다. 베란다 창문 활짝 열고 노을 속 청룡산을 바라본다. 온 산은 붉게 물든 나뭇잎으로 가득하고 비 그친 후 공기는 더 없이 맑다. 작가 박완서님은 그녀의 작품 '유실'에서 오늘 같은 날을 이렇게 표현했다. "공기는 약수물처럼 톡 쏘게 맑고 만산홍엽(滿山紅葉)은 노을처럼 화려했다"그림은 김경숙님의 제5회 개인전(2006년) "나무 이야기" 작품의 일부 (http://goo.gl/jYCPz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