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Favorite/옛숨결 (75)
Gonjiduk Gazebo
정병(淨甁)은 원래 인도에서 승려들이 마실 물을 담던 휴대용 수행 도구였다. 그런데 5세기 초 관음보살이 중생에게서 받은 버드나무 가지와 맑은 물로 그들의 병을 치료해 주었다는 의 내용이 중국에 알려지면서 부처나 보살에게 깨끗한 물을 담아 바치는 불교 의식구가 되었다. 맑은 물과 버들가지로 중생의 아픈 몸과 마음을 치유하는 관음보살의 자비의 상징물이 된 것이다.특히 정병과 버드나무가지를 든 관음보살을 그린 수월관음도(水月觀音圖)는 고려불화의 정수라 불린다. 수월관음도(水月觀音圖)는 글자 그대로 달이 비친 바다 가운데 금강보석에 앉아 있는 관음보살을 그린 불화이다. 고려 불화는 현재 전세계에 160점밖에 남아있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중 한국에 소장된 작품은 19점으로 추정된다. 특히 수월관음도는..
옛 문헌에 따르면 오리는 우리말로 오리·올이·올히로 불렀다. 삼국시대부터 우리나라에 전해져 농경민족인 우리 민족에게는 매우 친숙한 동물이다. 오리는 한자어로 ‘오리 압(鴨)’이라 하는데, 압록강(鴨綠江)이나 경주의 신라시대 유적지 안압지(雁鴨池, 지금은 월지라고 부름) 등에도 들어 있는 것으로 보아 오래 전부터 우리 민족과 가까웠음을 알 수 있다.특히 낙동강 하류에 살았던 가야 사람들은 오리를 더욱 신성하게 생각했다. 해마다 겨울이 되면 따뜻한 지역을 찾아 남쪽 낙동강으로 많이 찾아들고, 봄이 되면 다시 북쪽으로 돌아가는 모습을 보면서 사람의 탄생과 죽음을 떠올렸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전통적으로 북쪽을 저승이 있는 방향으로 믿어, 오리는 이승과 저승을 오가는 새로 여겼다. 그래서 낙동강 유역에서 사람이 ..
딱지본.1910년대 초반부터 신식활판인쇄기의 구활자본으로 출간된 소설들로 책의 표지가 아이들 딱지처럼 울긋불긋하게 인쇄된 이야기책에서 유래된 말이다.당시 국수 한 그릇 정도의 싼값이라 '육전소설(六錢小說)'이라고도 했으며, 납활자로 인쇄했다고 해서 '구활자본 소설'이라고도 한다. 판형은 주로 4·6배판의 소형으로 휴대용으로 볼 수 있다는 특징이 있으며, 값이 싸서 부담 없이 구입할 수 있었다. 딱지본 소설의 레퍼토리는 급조한 신소설류나 고소설류 등이 많았으나, 편집체제와 장정 면에서 이전과 다른 새로움을 보여주기도 했다. 띄어쓰기, 한자병기, 대화자 표기의 도입 등 근대문학적 지표들은 모두 딱지본을 통해 이루어졌다. 전통적인 민화와 서구적 회화기법이 병행된 딱지본의 표지 그림은 그림과 문자가 매체를 통해..
박쥐라는 이름의 유래는 밤에 잘 돌아 다니는 ‘밝은 눈을 가진 쥐’라는 뜻에서 ‘밝쥐’라고 불렀다가 박쥐로 되었다고 하기도 하고, 주로 밤에 활동하므로 ‘밤쥐’에서 박쥐가 되었다고도 한다.그런데 박쥐는 시력이 매우 나쁜 대신 큰 귀를 가지고 있어 청각이 발달하였다. 초음파(20,000Hz 이상의 고주파로 사람이 들을 수 없는 소리)를 발생하여, 물체에 부딪혀 반사되어 오는 초음파를 듣고 거리를 측정하여 날아다닌다.박쥐(蝙蝠)는 얼핏 생각하기에 그 생태가 길상(吉祥)과는 반대되는 듯한 이미지를 주는 동물이다. 하지만 조선시대의 가구나 백자, 생활용품 등에서 박쥐 문양으로 장식된 사례를 많이 찾아 볼 수 있다. 이런 점에 미루어 박쥐는 조선시대에 길상을 상징하는 동물임을 추측할 수 있다. 박쥐를 행복을 상징..
청자상감봉황문화분대(靑瓷象嵌鳳凰文花盆臺)영국 빅토리아 앨버트 박물관(Victoria and Albert Museum) 소장(Gilt Celadon Flowerpot Support with Inlaid Phoenix Design)고려, 13세기 후반높이 5.4cm, 전받침지름 10.6cm, 전체지름 22.3cm, 바닥지름 6.1cm상면 넓은 전에 꽃과 봉황을 4곳에 배치하고 그 위로 당초문대와 아래로 여의두문대가 상감으로 장식되었다. 내저면에 쌍봉과 국화문대, 학문을 흑백상감으로 시문하고, 외면에는 운학문을 중심으로 당초문대와 연판문대를 돌렸다. 담녹청색의 청자유가 전면에 시유되었으며 굽바닥에 규석받침의 흔적이 4곳에 나 있다. 상감무늬 일부에서 금채의 흔적이 발견되는데, 이는 현존 유물에서 드문 예이다...